2004년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터미널'은 미국으로 입국한 후 국경을 넘을 수 없게 된 남성 비크토르 나바스(톰 행크스 분)가 공항에서의 일상을 그린 인물 드라마이다. 이 영화에서는 비록 대사 자체가 명대사로 자리잡지는 않았지만, 영화 전반적으로 배우들이 선보인 연기와 스토리 전개, 그리고 여러 장면에서 인상적인 대사들이 등장한다.
영화 '터미널'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 중 하나는 비크토르가 공항에서 첫 번째로 만난 여성 도시락 판매원 그레이스(캐서린 지타-존스 분)와의 대화에서 나온 대사이다. 그레이스는 비크토르가 어디 출신인지 물어본다. 비록 비크토르가 'Krakozhia(크라코지아)' 출신이라고 대답하지만, 그레이스는 이것이 어디인지 모른다. 이에 비크토르는 "It's a little country. We don't have much. We make steel. Maybe one day you'll buy a car made with our steel"이라고 말한다. 이 대사는 비록 간단하지만, 다른 나라 출신의 사람들에게 가진 것들을 자랑하지 않고 조용히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또한, 비크토르와 공항 직원들의 대화에서는 가슴 따뜻해지는 대사들이 많이 등장한다. 예를 들면, 공항 안무직원 조(Michael Nouri 분)이 비크토르에게 "You're a great man. You're going to do great things"라고 말해주는 장면이 있다. 이 대사는 조가 비록 비크토르의 언어를 못 알아들어도 그의 인격과 가치를 알아보고 그를 지지해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 외에도 비크토르가 미국 국민으로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장면에서 "America is not a country, it's just a business. Now pay me"라는 대사도 등장한다. 이 대사는 비록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미국에서의 소비 문화와 이민자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그린 영화 '터미널'에서는 주인공 비크토르 나반스키가 한 말이 매우 유명합니다. 그는 "난 여기 살지 않아. 단지 이곳에서 기다리는 거야."라는 대사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목적에 대해 언급합니다. 비크토르는 첫 순간부터 도착 예정이었던 목적지로 떠나지 못하게 된 불운한 이민자입니다. 그러나 그는 절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힘써갑니다.
영화 '터미널'은 단순한 이민자의 이야기가 아니라, 미국의 이민 정책과 이민자들이 직면하는 어려움, 그리고 미국에서의 생활 방식과 문화 등을 포괄하는 영화입니다. 비크토르는 캐릭터로서 미국 이민자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상징하며, 미국 사회의 복잡한 면모를 보여줍니다.
또한 비크토르의 대사 중 "대답하면, 끝이야."라는 대사도 매우 유명합니다. 이 대사는 비크토르가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신념과 원칙을 지키기 위해,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자세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비크토르의 모습은 우리에게 희망과 격려를 주며, 우리에게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힘쓰는 것이 중요함을 상기시켜줍니다.
'영화속 명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캐스트 어웨이(Cast Away, 2000)'의 명대사 (0) | 2023.03.04 |
---|---|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 2000)'의 명대사 (0) | 2023.03.03 |
영화 '이프온리(If Only, 2004)'의 명대사 (0) | 2023.03.02 |
영화 '포레스트 검프 (Forrest Gump, 1994)'의 명대사 (0) | 2023.03.01 |
영화 '이터널 선샤인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2004)'의 명대사 (0) | 2023.02.28 |
댓글